-
논어 원문 및 해석(3)카테고리 없음 2024. 4. 14. 16:23
27. 공자가 말하길, “청천백일하응수위양(淸澄百日下應水爲陽)”
원문: "淸澄百日下應水爲陽"
해석: "맑고 투명한 백일 동안 물에 비춰지면 그것은 양(陽)이 된다."
이 구절은 청정함과 지속적인 정성이 어떻게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 있는지를 은유적으로 표현합니다. 지속적인 노력과 순수함이 결국에는 선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28. 공자가 말하길, “도지지지능, 지지지지용(道之以至, 知之以知, 至之以至, 用之以用)”
원문: "道之以至, 知之以知, 至之以至, 用之以用"
해석: "도덕을 극한으로 추구하고, 지식을 지식으로 이해하며, 극한을 극한으로 달성하고, 사용을 사용으로 적용하라."
이 구절은 모든 것을 그 본질에 따라 깊이 이해하고 실행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합니다. 즉, 모든 행동과 지식이 그 본래의 목적과 방법에 맞게 이루어져야 한다는 뜻입니다.
29. 공자가 말하길, “지자지력, 지자지시(知者之勵, 智者之時)”
원문: "知者之勵, 智者之時"
해석: "지식 있는 사람은 자극받아 노력하고, 지혜로운 사람은 때를 안다."
이 구절은 지식과 지혜의 중요한 측면을 다룹니다. 지식 있는 사람은 항상 더 나아가기 위해 자신을 자극하고 도전하는 반면, 지혜로운 사람은 언제 행동해야 할지 그 적절한 때를 파악한다는 의미입니다.
30. 공자가 말하길, “위인위지, 지인지지(爲人爲知, 知人知之)”
원문: "爲人爲知, 知人知之"
해석: "사람을 대할 때는 이해함으로써 대하고, 사람을 알 때는 그들을 제대로 알라."
공자는 인간관계에서의 깊은 이해와 진정한 인식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사람들을 대할 때는 그들을 이해하려는 태도가 필요하고, 사람을 판단할 때는 그들을 정확하게 알아야 한다고 말합니다.
31. 공자가 말하길, “신불위지하위위지상(信不爲矩, 何爲爲矩尙)”
원문: "信不爲矩, 何爲爲矩尙"
해석: "신뢰가 없다면 법칙을 세워봐야 무슨 의미가 있겠는가?"
이 구절은 신뢰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사회나 어떤 관계에서든 신뢰가 기본이 되지 않으면, 그 어떤 규칙이나 법칙도 그 진정한 의미를 갖기 어렵다는 것을 말합니다. 신뢰는 모든 조직과 관계의 근간을 이룹니다.
이와 같은 논어의 구절들은 공자의 생각을 더욱 깊이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그의 가르침은 인간 관계, 도덕, 지혜 등 다양한 주제에 걸쳐 현대 사회에서도 여전히 큰 가치를 지니고 있습니다.
32. 공자가 말하길, “의이위지, 부이위신(義以爲知, 富以爲信)”
원문: "義以爲知, 富以爲信"
해석: "의로움을 통해 지식을 얻고, 부를 통해 신뢰를 얻는다."
이 구절은 도덕적 가치와 물질적 성취 모두가 중요하다고 강조하며, 도덕적 의로움이 진정한 지식의 원천이 되고, 경제적 안정이 신뢰를 구축하는 기반이 된다고 설명합니다.
33. 공자가 말하길, “문자위토지치(聞字爲徒之治)”
원문: "聞字爲徒之治"
해석: "글자를 듣는 것은 제자를 다스리는 방법이다."
이 구절은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공자는 지식 전달과 학습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제자들이 가르침을 듣는 것 자체가 그들의 행동과 사고를 규율하는 수단이 될 수 있다고 믿었습니다.
34. 공자가 말하길, “효자여사불망가(孝子於思不忘家)”
원문: "孝子於思不忘家"
해석: "효자는 생각할 때 집을 잊지 않는다."
효도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이 구절은, 가족에 대한 사랑과 책임을 효자의 핵심 덕목으로 삼고 있습니다. 공자는 가정에서의 효행이 사회적 행위와 도덕성의 기초가 된다고 봤습니다.
35. 공자가 말하길, “성자불기고, 기자불성(聖人不器, 器人不聖)”
원문: "聖人不器, 器人不聖"
해석: "성인은 도구가 아니며, 도구적인 사람은 성인이 아니다."
이 구절은 성인이나 진정으로 지혜로운 사람은 특정한 목적이나 역할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상황에서도 그 가치를 유지한다는 의미입니다. 도구처럼 한 가지 일에만 사용되는 사람은 진정한 지혜나 덕을 갖추지 못했다는 비판이 담겨 있습니다.
36. 공자가 말하길, “약수지인(若水之仁)”
원문: "若水之仁"
해석: "물의 어질함처럼."
물은 모든 생명체에게 필요하며 모든 곳으로 흘러가는 속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공자는 이 구절을 통해 물의 속성인 겸손함, 유연성, 모든 것을 수용하는 자세를 최고의 덕목으로 칭찬하고 있습니다. 이는 사람들이 물처럼 다른 이들에게 이로움을 줄 수 있는 존재가 되어야 함을 의미합니다.
논어의 이러한 깊이 있는 구절들은 공자의 철학이 어떻게 일상생활의 다양한 측면에 적용될 수 있는지를 보여주며, 우리가 오늘날에도 배울 수 있는 중요한 교훈을 제공합니다.
37. 공자가 말하길, “유교불연(有敎無類)”
원문: "有敎無類"
해석: "교육에는 차별이 없다."
공자는 모든 사람이 교육받을 권리가 있으며, 교육을 받을 기회는 사람의 출신이나 계층에 따라 달라져서는 안 된다고 주장합니다. 이는 공평한 교육 기회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구절입니다.
38. 공자가 말하길, “세인위지(世人爲知)”
원문: "世人爲知"
해석: "세상 사람들은 지식을 추구한다."
이 구절은 인간의 본성 중 하나로 지식 추구를 들며, 공자는 사람들이 항상 새로운 것을 배우려는 욕구를 가지고 있다고 설명합니다. 이러한 추구는 더 나은 삶과 사회를 만드는 데 필요한 기반이 됩니다.
39. 공자가 말하길, “지자불인, 인자불지(智者不仁, 仁者不智)”
원문: "智者不仁, 仁者不智"
해석: "지혜로운 사람은 반드시 어질지 않으며, 어진 사람은 반드시 지혜롭지 않다."
이 구절은 지혜와 어질음이 서로 다른 덕목이며, 한 사람이 모든 덕을 완벽하게 갖출 수 없음을 의미합니다. 각 개인이 강점을 가질 수 있지만, 모든 것을 완벽하게 갖출 수는 없다는 현실적인 인식을 보여줍니다.
40. 공자가 말하길, “학이시습지, 불여락호(學而時習之, 不亦樂乎)”
원문: "學而時習之, 不亦樂乎"
해석: "배우고 때때로 그것을 실천해 본다면, 이 또한 즐겁지 않겠는가?"
이 구절은 앞서 다뤘던 구절로, 평생 학습의 즐거움과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공부하고 그것을 실제로 적용해 보는 것에서 오는 기쁨과 만족을 말하고 있습니다.
41. 공자가 말하길, “이행불구이(以行不由徑)”
원문: "以行不由徑"
해석: "길을 가되 지름길을 택하지 않는다."
이 구절은 도덕적 또는 올바른 방식으로 목표를 달성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쉽고 빠른 길보다는 옳은 길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하며, 이는 인생과 업무에서 정직하고 원칙을 지키는 것을 강조합니다.
논어의 이러한 깊은 구절들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우리의 삶에 깊은 영향을 미치는 도덕적 지침을 제공합니다. 공자의 가르침은 시대를 초월해 인간의 본성과 사회적 관계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는 데 도움을 줍니다.